압연 가공의 정의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압연이란 소성변형이 비교적 잘되는 금속 재료를 열간 또는 냉간에서 회전하는 2개의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두께나 단면을 줄이고, 길이를 늘려서 여러 가지 형태의 봉재, 판 등으로 가공하는 소성변형입니다. 압연은 주조, 단조에 비하여 작업이 빠르고 생산비가 적게 들며, 재질이 균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고온에서 재료가 연화하여 저항이 작고 소재 유동이 잘되므로 작은 동력으로 큰 변형을 줄 수가 있으며 ,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압연하므로 재질의 균질화가 이루어집니다. 또한 냉간압연의 장점으로는 제품의 치수가를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압연된 재료의 표면이 깨끗하여 결정 입자의 미세화가 일어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장점이 존재합니다.
분괴 압연은 주괴를 가공하여 단면적을 줄여 중간제품으로 만드는 압연을 분괴 압연이라 칭하고 주괴 시 주괴에 생기는 수축관, 기포 등의 결함을 압착시켜 균일한 상태를 만들어줍니다. 또한 원하는 형상과 치수를 강 편으로 압연합니다. 분괴 압연은 철강공장과 압연공장과의 중간에 위치하여 큰 소재의 주괴를 열간 압연하여 반제품으로 만듭니다. 반제품은 크기와 모양에 따라 구별이 되며 보통 정사각형의 형태를 갖춥니다. 중간제품을 다시 압연하여 완전한 제품을 만드는 최종 압연을 완성 압연이라고 하며 조질압연은 뜨임 처리를 한 후의 냉간압연강판은 너무 연질이거나 가공 중에 줄무늬 같은 번형 무늬가 생기므로 이것을 제거하고 경도를 향상하기 위하여 가벼운 냉간압연을 하는 것이 조질 압연이라고 합니다.
판재 압연의 특징
판은 강판용으로 분괴 압연된 된 것을 2단 또는 4단 압연기에 넣어서 만들어집니다. 6mm 이상의 두께의 것을 후판 3~6mm를 중후판, 3mm 이하의 강판을 박판이라 칭하며 그 목적에 따라 열간 또는 냉간압연이라 합니다. 압연방식은 하나의 압연기로 소재를 왕복시키는 것과 2개 또는 그 이상의 스탠드를 늘어놓는 완전 연속식, 반연속식 등으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열간 압연 코일을 연속식 방법으로 스케일을 제거한 후에 상온에서 압연하는 작업을 판재의 냉간압연이라고 하며 냉간압연의 목적은 두께를 얇게 하는 것과 표면을 매끈거리고 치밀하게 만드는 것이며 후속 열처리를 행하거나 열처리 없이 기계적 성질을 조정하는 것이 냉간압연의 목적입니다. 열간 압연강판에 비하여 냉간압연강판의 제품의 특징을 나열하면 스케일 부착이 없고, 결함이 아주 적으며 미려하고 판 두께의 정밀도가 매우 좋습니다. 또한 박강판의 제조가 가능하며 0.1mm 이하의 강판도 제조가 가능합니다. 냉간압 연후 전해 청정, 풀림 및 조질압연 등의 처리를 함으로써 기계적 성질이나 가공성이 좋고 , 표면처리를 하게 되면 내식성이 우수해집니다.
관의 압연의 종류와 제조방법
관의 제조방법으로는 소재에 구멍을 뚫는 압출 가공법과 압연 가공법에 의해서 제조가 되며 제관 설비에는 압연에 의한 제관과 용접에 의한 제관으로 나뉩니다. 통쇠는 강 편 광재 등의 소재를 가열한 후 천공기로 그 중심에 구멍을 뚫어 중공 조재를 만든 다음 그 구멍에 플러그를 넣은 채로 특별한 구조의 압연기에 걸어서 외측을 압연하여 소정의 두께와 굵기의 관을 만들고, 다시 롤과 교정기를 거치면 최종 제품이 되는 것이 통쇠입니다. 단접 강관은 소재인 대강을 약 1400℃의 고열로 가열하고 연속식 단접기로 나팔 모양을 한 롤러 구멍을 통하여 일반 하여 대강을 관모 양으로 성형함과 동시에 양 끝을 롤러로 압착시켜 제조합니다. 용접강관은 강판을 상온에서 제관 롤러로써 관모 양으로 형성하고, 그 접합 부를 전기 용접 또는 가스 용접으로 접합시킨 것입니다. UO프레스강관은 안 지름 350mm 이상되는 것으로 주로 송유관이나 구조용 관에 사용됩니다. 이 강판은 폭이 넓은 대강을 나선 모양으로 감으면서 접합부를 용접한 것으로써 여러 가지 구경의 것을 마음대로 선택하여 만들 수가 있고 강도도 높습니다. UO강판은 두께 6mm 이상의 후판을 소재로 하여 먼저 U형 프레스로 U자형으로 구부린 다음 O형 프레스 써 원형으로 성형하고 그 이음매를 내외면에서 잠호용접한 것이 UO프레스강관입니다.
'Metall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립변형과 쌍정변형의 개요 (0) | 2022.07.14 |
---|---|
압연기의 종류 (0) | 2022.07.13 |
피로 균열 및 파괴 (0) | 2022.07.11 |
신소재 합금 (0) | 2022.07.10 |
열처리의 결함 및 대책 (0) | 2022.07.07 |
댓글